Retail Issue 1138

⊙미국 인터넷쇼핑몰 월평균 방문자 순위 (2020년 기준)

⊙미국 인터넷쇼핑몰 월평균 방문자 순위 (2020년 기준) Top 10 Ecommerce Sites in the USA Ecommerce Guide - 미국의 인구는 327.9 백만에 달합니다. 그 중 312 백만은 인터넷을 사용하고 209.6 백만은 온라인으로 쇼핑합니다. - 2018년 전자 상거래 매출은 무려 517.36 억 달러에 달했으며 소매 전자 상거래만으로는 2023 년까지 740 억 달러를 초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018년 현재 온라인 소매업은 미국 전체 소매 판매의 14.3 %를 차지했으며 2016 년의 11.6 %에서 증가했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가장 진보 된 전자 상거래 시장으로 영국과 독일이 가장 잘 차지하며 각각 총 소매 판매의 더 높은 비율을 누리고..

⊙일본 인터넷쇼핑몰 월평균 방문자 순위 (2020년 기준)

⊙일본 인터넷쇼핑몰 월평균 방문자 순위 (2020년 기준) Top 10 Ecommerce Sites in Japan (ecommerceguide.com) - 일본이 중국, 미국 및 영국에 이어 세계에서 4 번째로 큰 전자 상거래 시장이라는 것을 아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 126.8 백만명의 인구 중 119만명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고 온라인 인구의 74.0%가 온라인으로 쇼핑하는 일본은 라쿠텐(Rakuten)과 DMM과 같은 지역 브랜드가 아마존과 야후 경매와 같은 국제 전자 상거래 거물들과 건강한 경쟁을 창출하는 전자 상거래 성공 사례입니다. - 기술에 정통한 인구 외에도 일본은 부유 한 시민들을 자랑하며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습니다. 경제통상산업부에 따르면 일본..

★음식메뉴개발자 (F&B MD) / 가맹점 오픈을 지원하는 요리사

★음식메뉴개발자 (F&B MD) 주남중 오리엔탈푸드코리아 가맹관리부 팀장 http://www.fnnews.com/news/201110161831217979?t=y 가맹점 오픈을 지원하는 요리사가 있다. 바로 베트남쌀국수 전문점 '호아빈'과 일본라멘 전문점 '멘무샤'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오리엔탈푸드코리아의 가맹관리부 주남중 팀장(32)이 그 주인공이다. 메뉴 개발자로 시작해 가맹점 관리 및 지원업무를 담당하게 된 그는 오리엔탈푸드코리아의 역사와 함께한 인물이다. '호아빈' 오픈을 준비하면서 주 팀장은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쌀국수 개발에 몰두했다. "베트남 전통 쌀국수는 향신료 때문에 한국인에게 거부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매장 오픈 전 국내는 물론 베트남까지 가서 유명하다는 쌀국수는 다 먹어봤죠. ..

★음식메뉴개발자 (F&B MD) 백종원

★음식메뉴개발자 (F&B MD) 전주대 외식산업학과 조민경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lsrud91&logNo=150096151622 요즘엔 각 레스토랑마다 주력메뉴가 있듯 차별화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색다른 음식메뉴를 제공합니다. 현재 외식산업에서의 메뉴(아이템, 맛)는 계속 빠르게 변하는 시대에 맞춰 계속 변해가고 있습니다. 시대의 흐름에 맞추고, 고객의 니즈에 부응하는 메뉴의 구성과 맛의 구현은 고객에게 사랑받는 점이되기도 합니다. 그만큼 현대에 메뉴개발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요리사들이 신 메뉴를 출시했지만, 외식업체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전문적인 음식 메뉴개발자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에 음식 메뉴개발자에 대해..

★가맹거래사

★가맹거래사 http://www.q-net.or.kr/site/gamaeng http://franchise.ftc.go.kr/index.do ◇2012년 제10회 가맹거래사 자격시험 시행계획을 공고합니다. ○ 1차시험 - 원서접수 : 5.14(월) ~ 5.18(금) - 시 험 일 : 6.3(일) ○ 2차시험 - 원서접수 : 7.9(월) ~ 7.13(금) - 시 험 일 : 7.29(일) * 1차시험 합격자 또는 1차시험 면제자에 한하여 2차시험 원서접수 가능 ◇원서접수방법 : 한국산업인력공단 가맹거래사 홈페이지(www.Q-net.or.kr/site/gamaeng)에서 인터넷 접수만 가능

★태우(太牛)그린푸드 / 1988, 육가공전문업체

★태우(太牛)그린푸드 / 1988 육가공전문업체 http://www.taewoogreenfood.co.kr/ 마장동 육가공공장.pptx 우린 ‘축산물 유통혁신’으로 간다. 농협, 유통단계 축소·소비자가격 절감 축산농가 수익 상승 추구 http://weekly.donga.com/docs/magazine/weekly/2013/09/13/201309130500027/201309130500027_1.html 대형 패커 농협안심축산의 협력업체 ㈜태우그린푸드의 1차 가공장. 모든 과정이 콜드시스템으로 자동화돼 있다. 맞벌이인 박모 씨 부부는 시간이 여의치 않아 주말에 몰아서 장보기를 해왔다. 특히 고기는 대형할인점에서 1~2주일 먹을 만큼 넉넉히 구매하곤 했다. 그러다 보니 고기가 질기거나 맛이 없는 경우에도 다 ..

〔출점규제〕대규모 점포 유통산업 규제의 역설(逆說)

〔출점규제〕대규모 점포 유통산업 규제의 역설(逆說) http://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B&nNewsNumb=201801100044 대형마트 옥죄니 전통시장 위축돼… 온라인·편의점·전문점만 어부지리(漁父之利) ⊙ 오프라인 유통채널 규제에 온라인 유통업계만 성장… 오픈마켓·소셜커머스 등 2013년 대비 2016년 매출 및 영업이익 또렷한 상승 ⊙ 규제 ‘사각지대’ 기업들도 매출 또는 영업이익 증가… ‘이케아’ 매출 18% 증가(15년 대비 16년), ‘다이소’ 매출 75% 증가(13년 대비 16년), ‘하나로마트’ 영업이익 61% 증가(13년 대비 15년) ⊙ 반면 전통시장 매출은 8% 증가(13년 대비 15년)에 그쳐, 대형마트 매출은 2.5% ..

2010년 온라인몰, 시장규모 30조 육박

2010년 온라인몰, 시장규모 30조 육박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10335401&intype=1 올해도 온라인쇼핑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신세계유통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온라인몰 시장 규모는 29조 3000억원으로 지난해 24조 8000억원보다 18.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에는 백화점 및 홈쇼핑 계열사의 종합쇼핑몰 성장이 두드러졌다. 백화점 브랜드 상품이나 TV 홈쇼핑의 상품을 그대로 간편하고 저렴한 가격에 살 수 있는 데다 대기업 계열사가 많아 신뢰성도 보장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GS샵 온라인 부문은 약 20%,H몰(현대홈쇼핑)은 35%,롯데아이몰(롯데홈쇼핑)은 40%,신세계몰은 45% 이상 매출이..

〔출점규제〕대형마트·SSM 출점규제, 2023년까지 3년 더 연장

〔출점규제〕대형마트·SSM 출점규제, 2023년까지 3년 더 연장 (etnews.com) -전통시장 경계 1㎞ 이내에 대규모 점포와 준대규모 점포의 출점을 제한한다는 내용이다. -대형마트가 빠르게 성장하던 2010년에 골목상권 보호를 위해 처음 시행된 대규모 점포의 출점 규제는 당초 2015년에 효력이 만료되는 일몰 법안이었지만 올해까지 한 차례 연장됐다. 그 사이 유통산업의 중심이 온라인으로 급격히 옮겨 가면서 규제 필요성에 대한 논란도 불거졌지만 당국은 3년 연장을 택했다.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에 대한 출점 규제를 3년 추가 연장하는 정부안이 나왔다. 규제 기간을 늘린 고강도 규제에 유통업계가 위기에 몰렸다. 골목상권 보호를 명분으로 내세운 대형마트의 규제 실효성 논란도 거세질 것으로 전..

⊙새벽배송 / 40배 '급성장'

⊙새벽배송 "아침에 드세요" 새벽배송 인기..40배 '급성장' https://news.v.daum.net/v/20180922201140142?f=m 저녁에 주문하면 다음날 아침까지 배달해주는 이른바 '새벽배송'이 큰 인기입니다. 최근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는 커지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홍유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하루 일과를 마치는 저녁 시간. 두부, 미나리, 우유 등 식재료나 신선 식품 주문이 쏟아지고, 스티로폼 상자를 포장하는 직원들의 손길이 분주합니다. [정현석 / 새벽배송 업체 과장] "바쁜 시간대가 (밤) 8~9시까지인데 직장인들이 퇴근하고 장을 많이 보는 시간대가 보통 8시에서 9시 사이이기 때문에…." "저녁 9시까지 인터넷으로 주문한 신선 식품의 배송이 시작되는데요.그러면 늦어..

⊙미국에서 선호하는 Best 50 One Line Mall

⊙미국에서 선호하는 Best 50 one Line Mall http://www.stores.org/favorite-50 NRF | Homepage The National Retail Federation is the world's largest retail trade association. nrf.com Rank Company Headquarters 2012 Rank Main Product 1 Amazon.com Seattle 1 general merchandise 2 Walmart.com Bentonville, Ark. 2 general merchandise 3 eBay.com San Jose, Calif. 3 online marketplace 4 Kohls.com Monomonee Falls, Wis...

〔조조&심야 〕야간시간대 매장 운영 전략

야간시간대 매장 운영 전략 http://www.retailing.co.kr/article/a_view.php?art_idx=3102# ◇야간 영업 성공 포인트는 인력 효율성 극대화 맞벌이 가정, 1인가구 증가로 야간시간대에 매장을 찾는 고객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야간시간은 오전에 비해 업무가 까다로워 철저한 준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매출 향상에 큰 영향을 끼치기 힘들다. 매장 운영상 중요해진 야간시간대 판매 상품 운영 전략과 오퍼레이션상 주의점을 알아본다. 최근 여성의 사회 진출과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후 늦은 시간대 장을 보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야간시간대 전략이 중요해졌다. 직장에 다니는 여성은 대체로 일을 마친 후인 19~20시 사이 빠르게 쇼핑과 저녁 식사 준비를 한다. 따라..

〔조조&심야〕심야영업 - '共感과 위로'에 지갑 여는 2030(20·30代 젊은이들)

○심야영업 - '共感과 위로'에 지갑 여는 2030(20·30代 젊은이들 http://premium.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1/22/2015012200255.html?pmletter 상처받은 젊은이들 위한 '위로 마케팅' 뜬다. 밤에 열고 아침에 닫는 식당 - 외로운 싱글족들에 인기 주인 "영업 끝났으니 나가란 말, 손님에게 상처 주니까 못해" "실패한 사람만 오라" - 이혼·실직한 사람 위한 게스트하우스·미용실… 술잔 기울이다 보면 단골 돼서울 강남의 수입차 판매업체 인사팀에서 일하는 A(28)씨는 지난 17일 열일곱 시간을 일했다. 서류 더미와 컴퓨터 모니터를 번갈아 보며 직원들의 연장 근무와 야근 내역을 정리하느라 진이 빠졌다. 야근을 마친 오전 2시. 사무..

〔조조&심야〕조식시장 新 블루오션 부상

○조식시장 新 블루오션 부상 현대인은 바쁘다. 이런 현대인에게 있어 아침 일찍 일어나서 저녁 일찍 잠자리에 드는 ‘바른 생활’은 그저 다른 세계 얘기일 뿐이다. 공부하는 직장인인 ‘셀레던트’의 증가, ‘한국 직장인 스트레스 보유율 세계 최고’ 등 경쟁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는 현실은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을 바꿔놓았다. 아침형 인간부터 저녁형 인간, 새벽에 활동하는 올빼미형까지…. 소비 주체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는 시장 변화로 나타난다. 소비자 성향에 맞춘 틈새시장은 곧 바로 블루오션으로 연결, 치열한 경쟁과 함께 시장 규모를 넓혀가며 소비자 또한 이러한 성향에 익숙해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침사양족과 올빼미족이 외식업체 블루오션으로 주목받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외식업체, 아침사양족을 잡아라..

⊙택배시장

⊙택배시장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배송이 대세를 이룸에 따라 예상했던 대로 2020년 국내 택매 물동량은 무려 20.9% 나 증가한 33억 7천만 개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으며, 증가세도 전년 대비 20. 9%를 기록했다. 한국통합물류협회가 밝힌 2020년도 국내 택배시장 실적 자료에 따르면 국내 택배 운송사업자(18개사) 중 17개사, 우체국 택배를 포함한 지난해 총 국내 총 택배 물량은 33억 7천만 개를 기록했다. 이를 매출액으로 환산하면 국내 택배 총 매출 규모는 7조4,900억 원이며, 안타깝게도 택배 1개당 평균가격은 2019년 잠시 인상된지 1년만에 지난해보다 48원이 또 다시 하락한 2,221원이 그쳤다. '택배 양극화'...작년 ‘CJ대한통운·롯데·한진·우체국택배 점유율 83.6..